![[React] Tailwind-css를 써보면서 느낀점](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xczmL%2FbtsMo9jvf5C%2FU7NBD0x29PbkeNbfLDjCW0%2Fimg.png)
개요 Styled-Component로 개발을 하던 도중, Tailwind-CSS가 굉장히 좋다는 평을 듣고 간단한 웹사이트에 적용을 해봤다. 조금 더 큰 프로젝트에 적용하기엔 Tailwind-CSS를 잘 몰라서 우선은 전에 작업하던 프로젝트를 타입스크립트로 마이그레이션 할 겸 적용해보면서 Tailwind-CSS를 파악해보기로 했다. 전반적인 특징Tailwind-CSS에 대해 설명하는 글은 이미 너무나도 많다.그럼에도 간단하게 짚고 들어갈 것인데, 너무 뻔한 내용들이 많기에 핵심만 필요한 사람들은 아래의 사용해보면서 느낀 장점으로 넘어가면 된다. Utility First대부분의 특징은 Utilty First로부터 파생된다. Tailwind-CSS의 대부분의 장점과 단점 모두가 Utility First라는..
![[Develop] svg vs png : 뭐가 더 좋을까?](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2h5jr%2FbtsMaQxCRTP%2FHbaLC0oEJ4M809bhyGzmK1%2Fimg.png)
개요 Flutter뿐만 아니라 프런트엔드 개발을 하다 보면 앱 내부에 이미지를 넣어야 할 때가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일반적으로 두 가지의 포맷을 사용하곤 하는데, 그 두 포맷이 svg와 png다. (jpeg는 투명도가 없기에 사용하지 않는다.) figma를 보고 작업을 하다보면 디자이너가 아이콘들을 svg 포맷으로 주곤 한다. 평소에는 별생각 없이 svg 파일을 받아 사용했는데 문득 의문이 들었다. 'svg를 주로 사용하는 이유가 뭐지?', 'png도 같은 역할을 하는데, 둘의 명확한 차이에 대해 나는 알고 있었나?'. 그래서 개발에서 둘의 차이에 대해 조금 더 깊게 알아보기로 했다. 우선은 간단하게 각각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성능 상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자. 각각의 특징SVG 포맷 SVG는 S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