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 모델 검증 로직은 어디에 위치하는게 좋을까](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lgtez%2FbtsO2W8oI9h%2FAAAAAAAAAAAAAAAAAAAAABzZ1785hWm17GWfX2YCYWG70PaMf7GMbZbKXgxeFljj%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9244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RJo5vNslrvKpmNi7CYxFgb74oxo%253D)
개요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반드시 한 번쯤은 "모델 검증 코드를 어디에 둘 것인가?"라는 질문을 마주하게 된다. 처음에는 대수롭지 않아 보이지만, 프로젝트 규모가 조금만 커져도 코드의 유지보수와 팀 내부의 합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논쟁거리로 떠오른다. 현업 개발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각종 프로젝트들을 경험해보며 여러 아키텍처 글과 실전 코드들을 뒤적이다가 "내가 정말 제대로 이해하고 있나?", "지금 선택이 과연 최선일까?"라는 의문을 반복해서 던지곤 한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모델 검증 코드를 모델 내부에 둘지, 아니면 외부의 별도 Validator로 뺄지를 결론부터 단순히 내려버리기보다, 흐름의 주권, 즉 책임이 어디에 머무르고 언제 이동하는가라는 관점에서 보려고 한다. 그전에...
![[Develop] 제어 주도에 따른 동기와 비동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dxH2Si%2FbtsNU5FkZky%2FAAAAAAAAAAAAAAAAAAAAAO-TYtmkwBvLBZ6rJz9vHddUZss4q6g-9PttGY9JBGLw%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9244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mm1zsSDrJODNqs9KMJPA%252B2%252B4wEU%253D)
개요이전에 Flutter글에서 async/ await 개념에 대해 공부하면서 아래의 글을 작성한 적이 있었다. ▼ [Flutter] 동기와 비동기 개론개요 동기와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다보면 항상 등장하는 개념이다. 중요한 개념이고 꼭 알아야한다고 하지만 이게 왜 중요한 개념인지 잘 이해하지 못하고 넘어간 적이 많다.▼ 하지만noguen.com 해당 글의 내용이 잘못된건 아니지만 (다시 읽어봤을 때는 아직까지는 잘못된 점을 못찾았다) 동기와 비동기를 다르게 보는 시각이 있다는 이야기가 있어서 이에 대해 정리하려고 한다. 제어 흐름으로 본 동기와 비동기동기와 비동기의 개념 동기는 Synchronous, 비동기는 Asynchronous로 한국어로 봤을 때는 약간 헷갈리는 면도 조금 있다. 동기라는 말..
![[Develop] svg vs png : 뭐가 더 좋을까?](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2h5jr%2FbtsMaQxCRTP%2FAAAAAAAAAAAAAAAAAAAAAAgpTCKVPgreoTcpcnh0Ok5fq--zKs9m9HaB39xnhCFC%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9244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J7ccCpMngBo5GcF55FkHGkC6Syg%253D)
개요 Flutter뿐만 아니라 프런트엔드 개발을 하다 보면 앱 내부에 이미지를 넣어야 할 때가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일반적으로 두 가지의 포맷을 사용하곤 하는데, 그 두 포맷이 svg와 png다. (jpeg는 투명도가 없기에 사용하지 않는다.) figma를 보고 작업을 하다보면 디자이너가 아이콘들을 svg 포맷으로 주곤 한다. 평소에는 별생각 없이 svg 파일을 받아 사용했는데 문득 의문이 들었다. 'svg를 주로 사용하는 이유가 뭐지?', 'png도 같은 역할을 하는데, 둘의 명확한 차이에 대해 나는 알고 있었나?'. 그래서 개발에서 둘의 차이에 대해 조금 더 깊게 알아보기로 했다. 우선은 간단하게 각각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성능 상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자. 각각의 특징SVG 포맷 SVG는 S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