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후 이전에 작성했던 내용을 수정하여 올릴 예정입니다. 아래의 글이 영어긴 하지만 설명이 잘 되어있으니 참고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In UML class diagrams, what are Boundary Classes, Control Classes, and Entity Classes? I'm now using NetBeans as my IDE-of-choice, and it has a plugin for UML modeling. In the class diagram, there are model elements known as Boundary Class, Control Class, and Entity Class. However, I... stackoverflow.com

Detailed Design 앞에서 그린 Analysis 다이어그램만으로는 코드를 만들 수 없다. 그래서 아래의 것들이 있어야 코드로 표현할 수 있다. Types of attributes Operation signatures Assigning responsibilities as operations Additional classes to handle user interface 함수도 리턴 타입과 매개변수 타입을 정의해야한다. 이런 모든 것을 정하는게 Detailed Design이라고 한다. Class Specification : Atrributes 클래스의 Attribute를 표현할 때는 아래의 문법으로 표현한다. ▼ name ‘:’ type-expression ‘=’ initial-value ‘{’pro..

이전에 작성한 글을 수정하여 다시 올릴 예정입니다. 그동안에는 아래의 글에 설명이 잘 되어있는것 같아 아래의 글을 읽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사실 제거 굳이 안보고 아래거 보는게 나을 거 같네요. 정리가 되게 잘 되어있어서 공부할 때 참고하기 좋았습니다. [ETC.] 시퀀스 다이어그램 작성법 & 예제 총정리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란? 시퀀스 다이어그램은 UML 다이어그램의 한 종류로 시스템이나 객체들이 메세지를 주고받으며 상호 작용하는 과정을 표현하는 행위 다이어그램입니다. 현재 구축되어 있 coding-factory.tistory.com
![[Flutter] FutureBuilder로 비동기 화면 그리기 (feat.GetX)](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kuG46%2FbtsEeHVywUX%2FlpYNlvmDYk0wvbK6NCE8v0%2Fimg.png)
Future 데이터들 다루기 너무나도 까다로운 Future 추천 정보 비동기를 잘 모른다면 간단하게 이해하고 보는걸 추천합니다. 동기와 비동기 개론 -> Dart 비동기 프로그래밍 찍먹 -> Future 변수들을 사용하여 비동기 작업을 하다보면 가장 힘든 부분이 화면에 그려주는 부분이다. 데이터가 바로 들어온다고 가정하고 화면을 그리게 되면 빨간색 에러 화면을 마주하기 쉽상이다. 데이터가 완성되는게 아무리 빠르다고 해도 화면을 그리는 부분이 별도의 장치가 없다면 선행되기 때문에 에러가 쉽게 발생한다. 데이터가 들어오는걸 기다리는 동안에… 상태관리로 전부 처리하자 그렇기에 데이터가 들어오는것을 기다리며 그 동안에는 로딩 화면을 보여주거나 빈 화면을 보여줘야 하는데, Stateful Widget이나 GetX..
![[Flutter] Dart의 Single Quote와 Double Quote](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4Dos%2FbtsEdHOMJqV%2Fhsz8kl3yTTWavxmePBOekk%2Fimg.png)
Dart의 String 문법 다른 언어들은 안이러는데 Flutter는 Dart언어를 사용하기에 대부분 Dart를 사용하지 않다가 Flutter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하게 되었을 것이다. 조금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JAVA나 Python, C++ 와 같은 언어들에 익숙해져있다가 Dart로 오게 되면 한가지 의문점이 생기게 된다. 바로 문자열을 “”(큰 따옴표, Double quote) 로 감싸는게 아니라 ‘’ (작은 따옴표, Single quote) 로 감싸기 때문이다. Dart의 String 문법 Dart에서는 아래와 같이 문자열을 작성할 수 있다. String singleQuote = '안녕하세요. 고라니입니다.'; String doubleQuote = "안녕하세요. 고라니입니다."; 두 문자열에 차이가 ..

Use Case Realization Design 단계에서는 use case diagram그리는 것과 Step By Step Description을 만드는 작업까지 했다. 그러나 Use Case 만으로는 코드 만드는것을 할 수는 없다. 코드를 위한 최종 목표는 Class Diagram이며, 그 중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Public Function들이 정의되는 것이다. 이는 Communication Diagram을 통해 만들어지는 Design Class Diagram이 만들어지면 해결이 된다. 그런데 Use Case Diagram에서 바로 Class Diagram으로 바로 넘어갈 수 없다. Communication Diagram을 거쳐야 Class Diagram을 만들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다이어그램까지..

Configuration management (CM) 변하는 소프트웨어를 관리하는 모든 프로세스와 툴을 CM이라고 한다. 파일을 사람이 직접 복사하고 옮기고 하는 걸로는 전체를 관리하기 힘들기에 소프트웨어를 관리하는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전체를 관리한다. System building 다 모아서 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모든 컴포넌트를 모아서 최종적인 바이너리 코드가 나오면 된다. Change management 버그 제거와 같은 요청들을 추적하고 관리한다. Release management 외부에다가 출시하는 것을 말한다. 버전이 여러개 나오는데 그걸 다 출시 하진 않고, 그 중에서 무엇을 출시 할 지를 정한다. 아래의 과정 전체가 CM이다. ▼ Multi-version systems ..

다형성(Polymorphism) 예제 Deer 클래스 Deer 클래스를 아래와 같이 정의해보자. ▼ class Deer { private: char name[10]; // 사슴 이름 int age; // 사슴 나이 double weight; // 사슴 무게 double height; // 사슴 키 public: Deer(const char* name, int age, double weight, double height, double antlersLength); // 생성자 char* getDeerName() const; // 사슴 이름 getter int getDeerAge() const; // 사슴 나이 getter double getDeerWeight() const; // 사슴 몸무게 getter d..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Object-Orientation Programming) 지금까지 배운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은 대체로 C++ 문법에 대한 내용, 그 중에서도 상속에 대한 C++ 문법이었다. C++ 뿐만 아니라 JAVA와 같은 대표적인 OOP 프로그래밍 문법들도 배웠을 것이다. 그러나 이번에는 문법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실제 소프트웨어 개발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배울 것이다.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이상적인 방법 인터페이스 컴퓨터(하드웨어)를 생각해보자. 컴퓨터를 한 회사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다 만들지는 않는다. 삼성에서 만든 컴퓨터의 스펙을 보면 아래와 같지만, 이 모든 부품을 삼성에서 다 만든 것이 아니다. 다른 회사들이 만든걸 모아서 만든 것이다. 그런데 굉장히 신기하게도 각 부품들을 다 다른 ..

개요 System Call 이란? System Call은 운영 체제의 커널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 응용 프로그램의 요청에 따라 커널에 접근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정말 간단하게 다시 말하자면, System Call은 커널에 접근하기 위한 수단 혹은 도구 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커널에 왜 접근해야하는지를, 그리고 커널에 접근하는 수단과 도구가 따로 만들어진 이유를 알면 System Call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System Call이 필요한 이유 커널에 왜 접근해야할까? 우리가 일반적으로 쓰는 프로그램들은 OS, 시스템의 힘을 빌려서 만들어진다. 유저 레벨의 함수들로는 고차원적인 동작을 하는 프로그램을 만드는게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렇기에 커널(kernel)의 도움을 반드시 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