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99클럽 코테 스터디 29일차 TIL : View 레벨 상태관리](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XoB0W%2FbtsKWKxm30W%2FSKK2esLM6kodorOazSXSx0%2Fimg.png)
TIL2024. 11. 25. 21:12[TIL] 99클럽 코테 스터디 29일차 TIL : View 레벨 상태관리
📖 오늘의 학습지금까지의 개발: View 레벨의 상태관리 지금까지의 Flutter 개발을 할 때에는 View 단위로 개발을 하곤 했었다. 상태관리를 View 레벨로 정의를 하여, 내부의 위젯들에 변화가 생기면 전체를 리로드 하는 방식으로 개발을 했다. 이게 권장 사항은 전혀 아니지만, 나름의 장점이 존재한다. View 레벨 상태관리의 장점 View 레벨로 상태관리를 할 때의 장점은 개발이 굉장히 빠르고 간편해진다는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위젯 각각이 상태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페이지 하나가 상태를 가지고 그 상태를 해당 페이지 내에서 공유를 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중앙 집중 방식이기에 이해도 쉽고 코드 짜는 것도 간편해진다. 일종의 MVC 패턴의 성격을 보인다. View 레벨 상태관리의 단점 그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