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xtJs] 하이아크 홈페이지 모노레포 적용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cz3a7f%2FbtsQMKEXvB2%2FAAAAAAAAAAAAAAAAAAAAAFIO-zUYjrLG6Z6JLbXmhUfUwE1rz7G8n_CUOuc2_Toa%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619227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9ccjPzCO3FCmtG5I%252BZKlJfuh%252FA4%253D)
HI-ARC intra.hiarc-official.com 개요대규모 웹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누구나 한 번쯤 이런 고민에 빠진다. "서비스가 여러 개일 때, 프로젝트 구조는 어떻게 나눠야 할까?" 특히 여러 명의 개발자가 동시에 작업하는 협업 환경이라면, 구조적 통일성과 생산성, 유지보수 효율성은 무시할 수 없는 요소다. 이때 흔히 등장하는 해답이 바로 모노레포(Monorepo) 구조다. 한 레포에서 여러 앱을 관리하고, 공통 UI와 유틸리티를 공유하고, 통합된 빌드 환경과 테스트, 린트를 적용할 수 있다. 한 번에 관리되는 코드베이스라는 것은 꽤나 매력적으로 다가온다. (필자는 플러터를 했을 때 부터 느낀 거지만, 한 번에 많은 것이 관리되는 코드베이스에 매력을 느끼는 것 같다.) 이 글에서는 ..
![[Develop] 제어 주도에 따른 동기와 비동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dxH2Si%2FbtsNU5FkZky%2FAAAAAAAAAAAAAAAAAAAAAO-TYtmkwBvLBZ6rJz9vHddUZss4q6g-9PttGY9JBGLw%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619227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Cioc7OZ2f7uXQZC8cxv%252BRxidaIo%253D)
개요이전에 Flutter글에서 async/ await 개념에 대해 공부하면서 아래의 글을 작성한 적이 있었다. ▼ [Flutter] 동기와 비동기 개론개요 동기와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다보면 항상 등장하는 개념이다. 중요한 개념이고 꼭 알아야한다고 하지만 이게 왜 중요한 개념인지 잘 이해하지 못하고 넘어간 적이 많다.▼ 하지만noguen.com 해당 글의 내용이 잘못된건 아니지만 (다시 읽어봤을 때는 아직까지는 잘못된 점을 못찾았다) 동기와 비동기를 다르게 보는 시각이 있다는 이야기가 있어서 이에 대해 정리하려고 한다. 제어 흐름으로 본 동기와 비동기동기와 비동기의 개념 동기는 Synchronous, 비동기는 Asynchronous로 한국어로 봤을 때는 약간 헷갈리는 면도 조금 있다. 동기라는 말..